javascript

변수, 변수 표기명 명명규칙

전주천둥새 2023. 5. 9. 14:27

1. 변수

- 변하는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

- 변수 선언 : 1) var 키워드 / 2) let 키워드 / 예) var userName = "홍길동";

- 변수의 자료형(타입)은 저장된 값에 의해 결정이 된다.

- 기본형의 종류는 문자형, 숫자형, 논리형이다.

- 자료형 확인하는 연산자는 typeof이며, 저장된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.

- 변수의 기본 값은 undefined 이다. (값 미대입시)

- 변수명은 예약어를 사용할 수 없다.

- 변수명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있는 변수명은 피해야한다(window, document 등)

- 변수명에는 특수기호( _, $는 허용), 변수명 앞에 숫자를 쓸 수 없다.

- 상수는 const라는 키워드로 선언한다. (변하지 않는 값 -> 변수 선언과 동시에 값 대입)

 

1-1) 변수의 선언

- var -> 변수명 중복 허용

변수 사용 범위 외에서 일부 사용가능{ (블럭 유효 범위, 스코프) }

**주의 : 변수명 중복,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구분

-let -> 변수명 중복 불가, let으로 선언된 지역변수는 사용이 불가

변수 사용 범위 외에서 사용불가{ (블럭 유효 범위, 스코프) }

- 사용되지 않는 변수(메모리)는 유효 범위 종료 시점에서 가비지 컬렉터에 의해 삭제(해제) 된다.

 

▼작성 예시

 

1-2)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

 

1) 전역변수

- 블럭 유효범위 상위에 선언된 변수

- 블럭 유효 범위에서 사용가능

2) 지역변수

- 블럭 유효 범위에 선언된 변수

- 블럭 유효 범위 밖에서 사용 할 수 없다.

** 블럭 유효범위 = 스코프 라고하며 { } 안쪽을 말한다.

 

1-3) 기본 자료형

 

2. 변수표기명 명명규칙

1) 카멜 표기법

- 일반적인 변수명 표기

- 소문자로 단어 시작하며, 단어와 단어 조합시 조합되는 단어 첫글자만 대문자로 표기

예) var userName;

2) 파스칼 표기법

- 클래스명, 생성자함수명

- 처음 시작 단어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표기, 단어와 단어 조합시 조합되는 단어 첫글자만 대문자로 표기

3) 스네이크(언더바) 표기법

- 단어와 단어 사이에 '_' 표기하여 단어 구분

예) var user_name;

4) 헝가리안 표기법

- 앞 단어를 자료형을 암시하는 단어와 변수명을 조합하여 사용

예) var strUserName;

5) 상수 변수명 표현

- 스네이크 표기법 + 모든 문자열 대문자

- 자바스크립트에서 전역 상수

예) const USER_NUMBER = 10;