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jsp-java Driver 로딩 및 연결 방법
1단계 : webcontents 폴더 하위에 Driver 로딩을 위한 폴더와 jsp 파일 생성
2단계 : 패키지를 생성하여 jsp와 같이 작동할 java class 생성(main x)

3단계 : Driver 객체로 메서드 선언(오류 링크 확인해서 Connection을 import 해준다)

4단계 : java 메서드 내에 return 문장을 생성해주고 jsp파일에서 java클래스를 import 해준다 이후
객체 참조변수를 생성한 이후에 오류는 없는지 확인해본다.

5단계 : Class.forName() 실행을 통해 소괄호 안의 클래스를 메모리에 로드해준다.
이때 오류가 발생하는데 오류로그에서 Add throws declaration을 클릭해서 오류를 방지한다(=try, catch)

6단계 : Connection 객체로 DB를 연결한다. 이때 오류가 발생하는데, 오류로그에서 Add throws declaration을 클릭해서 오류를 방지한다(=try, catch)
(이때 db종류, db명, db암호 등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구문을 작성하고 return값을 Connection 객체를 통해
생성된 객체참조변수 conn으로 변경한다.)

7단계 : Connection 객체 연결이 잘 됬는지 jsp파일에서 확인해본다.
(Connection 파일을 import해주고 Connection 객체참조변수를 선언하여 기존에 DriverDB에서 받은 값을
새로운 변수인 conn에 대입해준다.)

>>> 이렇게 Connection 객체로 driver를 연결하고 분리해준다.
2. jsp-java DTO(Data Transfer Object) 처리

1단계 : main없는 java 클래스와 jsp 파일을 생성해준다.

2단계 : java파일에 문자열 변수를private으로 선언해주고 setter와 getter를 작성한다(자동완성구문활용)

3단계 : jsp 파일에 java 클래스를 import 해주고 set 변수와 get 변수를 이용해 메서드를 호출하고 출력한다.

4단계 : 기존에 작성했던 m_insert 파일을 활용해서 이전에 작성하였던 DriverDB와 Member class를 import하여서,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은 후 해당 값을 서버에 setting하고 쿼리 실행을 위한 객체(pstmt) 생성시 서버에 setting된 값을 getting 하여 set하는 코딩을 작성하고 insert_form에서 확인해본다.


5단계 : useBean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찾아가서 해당 데이터에 대한 부분을 실행한다. 해당 라인이 있음으로써
정보가 기억되어있기때문에 값을 입력받고 setting하는 구문이 필요가 없어 구문이 간단해진다.
<jsp:useBean id="m" class="kr.or.ksmart.dto.Member"/>
▶ class의 경로를 찾아가서 해당 class에서 id값이 m인 데이터를 기억하고있기때문에 추가구문 작성이 필요X
<jsp:setProperty name="m" property="*"/>
▶ useBean 구문 사용시 찾아갔던 id값을 name에 삽입하여 해당 id값에 setting한다. property는 값을 setting할 범위를 설정해준다.(* = 전체)
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 암호화(SHA256) (0) | 2023.05.16 |
---|---|
el, jstl (0) | 2023.05.15 |
Jsp-Java JDBC 연결 (0) | 2023.05.09 |
매서드(method), 상속, final (0) | 2023.04.17 |
개발환경 구축 (0) | 2023.04.17 |